반응형 이차전지10 전기차 배터리에 관하여 알아보자 : 셀과 모듈과 팩 배터리의 구성요소 : 셀과 모듈과 팩의 차이점은? 1. 이차전지 (2차전지) 1.1 이차전지란?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현재 널리 쓰고 있는 리튬이온배터리 말고도 납축전지, 니카드전지 등이 사용되어져 왔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소형기기 (핸드폰 등)과 EV등 대형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납축전지의 경우 energy stroage system(ESS)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ESS로 LFP 양극재가 들어간 리튬이온배터리 상용이 검토되고 있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건전지 (알카라인 전지)도 배터리의 일종으로 일차전지라고 부른다. 일차전지란 일회성으로 방전만 가능한 비가역적인 시스템, 이차전지는 방전과 충전이 가역적으로 일어나는 시스템으로 알아두시면 기억하기 편하실거다. 1.2 이차전지 구.. 2022. 6. 27. SK 온과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 배터리 사업 협력 / 회사 알아보기 이차전지의 최강자 SK 온과 포스코홀딩스가 사업 협약을 맺었다. SK온과 포스코홀딩스는 어떤 사업을 주력으로 가고 있는 지 알아보자 SK온 SK 이노베이션에서 SK온으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전기차용 배터리와 ESS(energy storage system)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소재회사는 아닌 cell을 다루는 회사라고 보면 되겠다. 배터리는 셀 - 모듈 - 팩 단위로 scale이 커지는데 셀이 가장 작은 단위로 양극과 음극이 packing 되어 있는 housing system으로 보면 되고 모듈은 셀이 모여서 형성된 단위, 팩은 모듈이 모여서 형성된 스케일로 보시면 되겠다.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셀은 수백 내지 수천개가 packing 되어 있고, 배터리는 고 에너지밀도를 중심으로 설계가 된다. E.. 2022. 6. 17. 포스코홀딩스 아르헨티나에 염수리튬공장 착공식 이차전지와 리튬 리튬은 이차전지 양극재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원재료라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양극으로 흔히 사용하는 NCM,NCA 등에 들어가는 원재료로서 배터리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이러한 원재료를 저렴하고 많이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양극재 회사로는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이 대표적으로 있으며 이들 모두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리튬은 보통 수산화리튬 형태로 쓰이며, 이는 NCM이나 NCA를 합성시 리튬금속이 아닌 수산화기가 붙은 상태로 쓰기 때문이다. 리튬금속의 경우 air에서 반응하여 폭발하기 쉽다. 아르헨티나 염수리튬공장 포스코 홀딩스는 현지시간 3월 23일자로 아르헨티나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에서 염수리튬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2024년.. 2022. 3. 26. 전고체 전지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를 살펴보자 리튬이온배터리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고체전지 전해질이 고체로 된 이차전지로서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미래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투자해볼만한 전지.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요즘 많이 연구되고 있는 anode-free 전지와 리튬메탈음극은 실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였을 때는 상용화 가능성이 거의 0에 수렴하나 전고체전지에서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 현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액체 전해질에 비하여 고체 전해질의 낮은 이온 전도도와 그로 인해 배터리 작동 시 압력을 가해주어야 한다는 단점 때문에 아직까지도 연구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연구만 10년 이상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웃픈 이야기) 전고체배터리의 상용화 여부에 대해서 말을 하기 조심스럽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한 점이 .. 2022. 2. 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