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테슬라가 드디어 천슬라가 되었다.
더불어 시총 1조 달러를 기록했다.
앞으로 더 오를 지 아님 1000달러 밑으로 떨어질 지 모르겠지만, 주주들에겐 좋은소식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테슬라에서 전기차 배터리의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했는데,
놀랍게도 양극재로 LFP를 쓸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NCM, NCA가 아닌 수분에 안정하고, 값싼 LFP로의 전환을 제시했는데,
저렴한 건 강점이지만, NCM, NCA를 쓸 때보다 동일한 로딩에서 낮은 에너지밀도 측면을 어떻게 극복할지를 살펴보아야 될 것 같다.
(NCM811의 경우 실제용량이 200mA/g이 나오고 LFP의 경우 150mA/g 정도 나온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보통 높은 에너지밀도 (배터리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를 요구하여 양극재도 현재 high nickel NCM/NCA로 연구가 되어지고 있는데, 이를 값이 싸고, 수분에 안정하다는 이유로 LFP로의 전환이 가능할 지 모르겠다. 심지어 에너지밀도 때문에 전극의 로딩을 높이는 high loading 부분도 연구가 많이 되어지고 있는데, 흠....
LFP의 경우 작동전압도 기존 NCM/NCA보다 낮아서 이부분에 관해서도 테슬라가 어떻게 볼 지 모르겠다.
반응형
'투자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일지 급등한 엔비디아 다음 타겟은 어디? (0) | 2021.11.05 |
---|---|
급락한 스타벅스 사야할까? 주린이의 개인적인 견해 (0) | 2021.11.01 |
카카오페이 공모 / 우리가 알아야 할 것 (0) | 2021.10.24 |
스타벅스 하락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 (0) | 2021.10.21 |
미국 시가총액 순위 - 최고가, 배당율 비교 (0) | 2021.10.18 |
댓글